scroll down

About

제 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15th Gwangju Biennale: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2024.9.7. — 2024.12.1.

For its 30th anniversary, the 15th Gwangju Biennale gathers 73 artists from 30 countries;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is an attempt to map the complexity of the contemporary world. Conflictual borders, anti-migration walls, confinement, social distance, segregation policies... These seemingly dissimilar topics share a common point, which is space, and its political organization. The main effect of climate change is the apparition of a new topology, a new world map in which carbon dioxide and urban life, desertification and migration, deforestation and social struggles, destruction of animal ecosystems and vegetal invasions, all have become brutally interconnected.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is an operatic exhibition about the space we inhabit, from our housing to the human occupation of the planet. And as landscapes are also soundscapes, the exhibition is built as a narrative connecting musical and visual forms. Dating back to the 17th century, pansori is a Korean musical genre anchored in its native territory, a symbo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und and space. In Korean, pansori literally means "the noise from the public place," which might also be translated as the voice of the subalterns. The 15th Gwangju Biennale intends to recreate the original spirit of pansori, presenting artists who explore contemporary space through dialogue with the living forms around them. Art, too, is a specific place, one which allows us to re-think the space shared between humans, machines, animals, spirits, and organic life — our relational space. Space is also a knot that connects all emancipation struggles, from feminism to decolonization or LGBT+ rights; the division of space is always geopolitical. A number of artists in this exhibition address these spatial issues by representing contemporary landscapes and urban conditions, saturated with human presence, or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on natural ecosystems. Others open up the space itself by engaging in dialogues with machines, animals, bacteria and other life forms, or examining the molecular composition of the world. And still others are working at a cosmic scale, inventing a contemporary shamanism. From extreme density to desertic expanses,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presents itself as an opera you can walk into.

30주년을 맞아 30개국 73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 울림》은 현시대 복잡성의 좌표를 그리는 시도이다. 분쟁적 국경, 반-이주 장벽, 감금, 사회적 거리 두기, 분리 정책… 언뜻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이 화두들은 ‘공간,’ 그리고 그 정치적 구조라는 공유지를 갖는다. 이산화탄소와 도시 생활, 사막화와 이주, 삼림 벌채와 사회적 투쟁, 동물 생태계 파괴와 식물 침입이 모두 잔혹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세계 지도, 새로운 위상학의 출현을 기후 변화의 주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판소리-모두의 울림》은 개인의 거처부터 인간이 점령한 지구 전역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오페라적 전시이다. 풍경(風景)이 곧 ‘사운드스케이프,’ 즉 음경(音景)이기에, 전시는 음악과 시각적 형식을 연결하는 서사로 구성된다.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판소리는 소리와 공간의 관계를 상징하는 한국 고유의 음악 장르이다. 한국어로 판소리는 말 그대로 ‘공공장소에서 나는 소리’를 뜻하며 주변부주체의 목소리로도 번역될 수 있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는 주위 살아 있는 형상들과의 대화를 통해 동시대 공간을 탐구하는 작가들을 소개하며 판소리 본연의 정신을 재현하고자 한다. 예술은 인간, 기계, 동물, 영혼, 유기적 생명체가 공유하는 공간, 우리 모두의 관계적 공간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그 역시 특정한 공간이다. 공간은 또한 페미니즘부터 탈식민지화, 성소수자 인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해방 투쟁을 연결하는 매듭이며 공간의 구분은 언제나 지정학적이다. 전시에 참여하는 몇몇 작가는 인간의 존재로 포화한 현시대의 풍경과 도시 조건, 혹은 산업화가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표현함으로써 공간 문제에 접근한다. 어떤 작가는 기계, 동물, 박테리아 및 기타 생명체와 대화를 나누거나 세계의 분자 구성을 탐구하며 공간 자체를 열어젖히고, 또 다른 작가는 우주적 규모로 작업하며 현대의 샤머니즘을 발명한다. 극한의 조밀함부터 사막의 광활함까지, 《판소리-모두의 울림》은 걸어 들어갈 수 있는 오페라로서 모습을 드러낸다.

Participating artists

Agata Ingarden
Agnieszka Kurant
Alex Cerveny
Ambera Wellmann
Amol K Patil
Anastasia Sosunova
Andrius Arutiunian
Angela Bulloch
Anna Conway
Beaux Mendes
Bianca Bondi
Binta Diaw
Brianna Leatherbury
Cheng Xinhao
Choi Haneyl
Cinthia Marcelle
David Noonan
Deniz Aktaş
Dominique Knowles
Dora Budor
Emeka Ogboh
Franck Scurti
Frida Orupabo
Gaëlle Choisne
Harrison Pearce
Haseeb Ahmed
Hayden Dunham
Hye Joo Jun
Hyewon Kwon
Jakob Kudsk Steensen
John E. Dowell Jr.
Josèfa Ntjam
Julian Abraham "Togar"
Jun Hyoung San
Jura Shust
Kandis Williams
Katja Novitskova
Kevin Beasley
Kim Hyeong Suk
Kim Jayi
Liam Gillick
Loris Gréaud
Lucy Raven
Lydia Ourahmane
Marguerite Humeau
Marianna Simnett
Marina Rheingantz
Marina Rosenfeld
Matthew Angelo Harrison
Matthias Groebel
Max Hooper Schneider
Mimi Park
Mira Mann
Myriam Mihindou
Na Mira
Netta Laufer
Noel W. Anderson
Oswaldo Maciá
Peter Buggenhout
Philippe Parreno
Phillip Zach
Saâdane Afif
Saadia Mirza
Sofya Skidan
Soomin Shon
Sung Tieu
Tabita Rezaire
Unmake Lab
Vladislav Markov
Wendimagegn Belete
Yein Lee
YoungEun Kim
Yuyan Wang

아가타 인가든
아그니슈카 쿠란트
알렉스 세르비니
앰버라 웰만
아몰 K 파틸
아나스타시아 소수노바
안드리우스 아루티우니안
안젤라 블록
안나 콘웨이
보 멘데스
비앙카 본디
빈타 디어
브리아나 레더버리
쳉 신하오
최하늘
신시아 마르셀
데이비드 누난
데니즈 악타시
도미니크 노울스
도라 부도어
에메카 오그보
프랭크 스컬티
프리다 오루파보
가엘 쇼안느
해리슨 피어스
하시브 아흐메드
헤이든 던함
전혜주
권혜원
야콥 K 스틴센
존 E. 도웰 주니어
조세파 응잠
줄리앙 아브라함 "토가"
전형산
주라 셔스트
캔디스 윌리엄스
카트야 노비츠코바
케빈 비즐리
김형숙
김자이
리암 길릭
로리스 그레오
루시 레이븐
리디아 오라만
마르게리트 위모
마리아나 심넷
마리나 라인간츠
마리나 로젠펠드
매튜 안젤로 해리슨
마티어스 그뢰벨
맥스 후퍼 슈나이더
박미미
미라 만
미리암 미힌두
나미라
네타 라우퍼
노엘 W. 앤더슨
오스왈도 마시아
피터 부겐후트
필립 파레노
필립 자흐
사단 아피프
사디아 마르자
소피야 스키단
손수민
성 티우
타비타 르제르
언메이크랩
블라디슬라프 마르코프
벤디마켄 벨레테
이예인
김영은
유얀 왕

Curatorial Team

Artistic Director
예술 감독

Nicolas Bourriaud
니콜라 부리오

Nicolas Bourriaud has consistently explored art practices based on huma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often intersecting with technology, media, and networks through his works such as “Relational Aesthetics” (1998), “Postproduction” (2002), “The Radicant” (2009), and “Inclusions: Aesthetics of the Capitalocene” (2020). The discourse of relational aesthetics, which deals with concepts of relationships, mediati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s often cited as one of the defining concepts in contemporary art. Bourriaud founded and co-directed the Palais de Tokyo, Paris (1999-2006) and was Gulbenkian Curator for Contemporary Art at Tate Britain in London (2007-2010). He has helmed large-scale exhibitions such as Tate Triennial 2009, Taipei Biennale 2014, and Istanbul Biennale 2019. In 2022, he curated PLANET B. Climate change and the new sublime, Palazzo Bollani, Venice for Radicants, an international curatorial cooperative which he created earlier the same year.

니콜라 부리오는 『관계의 미학(Relational Aesthetics)』(1998),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2002), 『래디컨트(The Radicant)』(2009), 『포용: 자본세의 미학(Inclusions: Aesthetics of the Capitalocene)』(2020) 등 저서를 통해 미디어와 네트워크 등 기술 발전과 맞물려 상호 인간적인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기반을 둔 예술 실험과 실천 유형들을 집요하게 탐구하고 정립해왔다. 부리오의 ‘관계의 미학’ 이론은 동시대 미술 영역에서 ‘관계’, ‘매개’, ‘참여’, ‘상호작용’ 등의 현상을 규정짓는 주요한 개념으로 회자 된다. 부리오는 1999년 팔레 드 도쿄(Palais de Tokyo)를 공동 설립하고 2006년까지 공동 디렉터를 맡았으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테이트 브리튼(Tate Britain)의 굴벤키언(Gulbenkian) 큐레이터로 재직했다. 2009년 테이트 트리엔날레 (Tate Triennial), 2014년 타이페이 비엔날레(Taipei Biennial), 2019년 이스탄불 비엔날레(Istanbul Biennial) 등 대규모 전시를 기획하였다. 2022년 같은 해에 시작한 국제적인 큐레이터 조합인 래디컨츠(Radicants) 활동의 일환으로 베니스의 팔라초 볼라니(Palazzo Bollani)에서 《행성 B. 기후변화와 새로운 숭고함(Planet B. Climate change and the new sublime)》 그룹전을 기획했다.

Curators
큐레이터

Barbara Lagié
바바라 라지에

Barbara Lagié, a curator based in Paris, founded the "Belem" project space in 2018 where she curated a two-year exhibition program. Subsequently, she managed an art gallery, overseeing diverse global projects both indoors and outdoors. Barbara also curated projects for Espace Niemeyer, la Nuit Blanche, various galleries, and prestigious events. Since 2021, she has served as the Exhibition Director at Radicants, supervising exhibitions for the Venice Biennale, supporting curators, and contributing to Parisian space programming. Her research focuses on curating exhibitions that delve into personal and collective memory, while also examining the emergence of new narratives through the dynamic interplay of fiction and identity.

바바라 라지에는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큐레이터이다. 2018년 “벨렘”(Belem) 프로젝트 공간을 설립하고 두 해에 걸친 전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후 갤러리를 운영하며 안팎으로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총괄했으며, 또한 에스파스 니에메이어(Espace Niemeyer), 라 뉴 블랑쉬(la Nuit Blanche), 여러 갤러리 및 유수의 행사를 위한 프로젝트를 큐레이팅했다. 바바라는 2021년부터 래디컨츠의 전시 디렉터를 맡아 베니스 비엔날레를 위한 전시 《플래닛 B》를 총괄했고, 큐레이터를 지원하며, 파리의 공간 계획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의 연구는 개인과 집단의 기억을 천착하는 전시 기획에 초점을 맞추며, 더불어 허구와 정체성의 동적인 상호작용이 가능케 하는 새로운 서사의 출현을 탐구한다.

Kuralai Abdukhalikova
쿠랄라이 압두칼리코바

Kuralai Abdukhalikova, born and raised in Kazakhstan, has been living in Paris for many years. After managing artists and projects with Galleria Continua across the world, she was invited to join Radicants, an international curatorial cooperative. Leading publications and research, Kuralai participates in the programming of space and works on outdoor projects, notably in the Middle East. She also serves as a scientific advisor for several cultural institutions. Aside from her artistic research activities, Kuralai is involved also with more or less obscure circles, such as advising vinyl perfume for Space Oddities, a series dedicated to library music compiled by Alexis Le-Tan & Jess, or practicing Dombyra, the rhythms of which are based on different horse paces.

쿠랄라이 압두칼리코바는 카자흐스탄 출신으로 오랜 기간 파리에 거주하고 있다. 갤러리아 콘티뉴아(Galleria Continua)와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아티스트 및 프로젝트를 관리했고, 이어 국제 큐레이터 협동조합인 래디컨츠(Radicants)에 합류했다. 쿠랄라이는 출판과 연구에 더불어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 계획과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또한 몇몇 문화 기관의 과학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예술적 연구 활동 외에도 알렉시스 르 탄& 제스(Alexis Le-Tan & Jess)가 편집한 도서관 음악 시리즈인 스페이스 오디티스(Space Oddities)의 바이닐 향수와 관련하여 자문하거나 말의 다양한 걸음걸이를 기반으로 하는 리듬인 돔비라(Dombyra)를 연주하는 등 다소 생소한 영역에도 관여하고 있다.

Sophia Park
소피아 박

Sophia Park is a writer and curator based in Brooklyn, NY. Her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how everyday rituals, sticky feelings, and intimacy influence gathering and communal knowledge production. She is part of the curatorial duo slow cook (NYC) and was a co-curator of Jip Gallery (2018 - 2022). She also works as the Director of External Relations at Fractured Atlas and teaches at New York University. She has participated in curatorial projects and programs with Casco Art Institute: Working for the Commons (Netherlands), Gyopo (Los Angeles), 2022 Singapore Biennale (Singapore), Asian American Arts Alliance (NYC), and others. She holds a Masters in Curatorial Practice from the School of Visual Arts.

소피아 박은 뉴욕 브루클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큐레이터이다. 그는 현재 일상적 의식과 끈끈한 감정, 친밀감이 사람들의 모임과 공동의 지식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소피아는 뉴욕의 큐레토리얼 듀오, 슬로우 쿡(slow cook)에 몸담고 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집 갤러리(Jip Gallery)의 공동 큐레이터로 활동했던 바 있다. 더불어 현재 프랙쳐드 아틀라스(Fractured Atlas)의 대외협력 디렉터를 겸하며 뉴욕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의 카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워킹 포 더 커먼즈(Casco Institute: Working for the Commons), 로스앤젤레스의 교포(Gyopo), 싱가포르의 2022 싱가포르 비엔날레, 뉴욕의 아시안 아메리칸 아트 얼라이언스(Asian American Arts Alliance)의 여러 프로그램과 전시에 참여했다. 소피아는 뉴욕 소재의 스쿨 오브 비주얼 아츠(School of Visual Arts)에서 큐레이터 실무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Assistant Curators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Jade Barget
제이드 바르제

Jade Barget is a curator based in Paris and Berlin. She investigates atmospheres after nature, a theme central to her recent multi-chapter and ongoing program, The well tempered, with performances at Espace Niemeyer (Paris) and soft power (Berlin), as well as exhibitions at Frac Île-de-France and Fondation Fiminco (both in Romainville). Her curatorial B-side features Fatal & Fallen, a programme conceptualising the figure of the ultra-bad fighting girl as techno-mystic interface and martial device depicted in East Asian grindhouse and arthouse cinema from early silent films to contemporary production. Fatal & Fallen was presented at Asian Film Archive (Singapore), Sinema transtopia (Berlin), and Taiwan Film and Audiovisual Institute (Taipei). Jade was part of the curatorial team of transmediale (Berlin) for the 2021-22, 2023, and 2024 editions.

제이드 바르제는 파리와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큐레이터이다. 그는 진행 중인 연작 프로그램 더 웰 템퍼드(The well tempered)의 중심 주제로서 자연 이후의 분위기를 탐구하며, 파리의 에스파스 니에마이어(Espace Niemeyer)와 베를린의 소프트 파워(soft power)에서 퍼포먼스를, 로맹빌에 위치한 프락 일드 프랑스(Frac Île-de-France) 및 폰다시온 피민코(Fondation Fiminco)에서 전시를 진행했다. 다른 한편, 그는 큐레토리얼 작업의 일환으로 초기 무성 영화에서 시작해 현대 영화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그라인드하우스 및 아트하우스 영화에서 극악무도한 격투 소녀가 기술과 신비의 만남이자 무술적 장치로서 묘사되어 온 모습을 개념화한 프로그램, 치명적인 & 추락한(Fatal & Fallen)을 선보이기도 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싱가포르의 아시아 필름 아카이브(Asia Film Archive), 베를린의 시네마 트랜스토피아(Sinema transtopia), 대만의 국립 영화 시청각 센터(Taiwan Film and Audiovisual Institute)에서 상영되었다. 제이드는 2021-22년, 2023년, 2024년에 베를린의 트랜스미디알레 (transmediale) 큐레토리얼 팀에 참여했다.

Euna Lee
이은아

Born in South Korea, Euna Lee studied traditional Asian arts before moving to France, where she spent over a decade exploring various fields such as art plastique, art theory, and experimental video and working in galleries. In 2023, she coordinated the 14th Gwangju Biennale's French Pavilion with the Cultural Affairs Department of the French Embassy. She has organized exhibitions with national cultural foundations and has shown her work in both solo and group exhibitions. She is deeply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ased on cultural and linguistic identitie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ists and curators, as well as historical aspects ranging from traditional to contemporary art. Currently, she is pursuing a Ph.D. in Fine Arts at Hongik University while working as an artist and curator.

이은아는 한국에서 동아시아 전통 미술을 전공하고 프랑스로 건너가 조형예술학, 미학, 실험 비디오 등 분야 등을 공부했다. 이 후 갤러리를 포함 다양한 문화 분야에서 일하며 경험을 쌓고 10여 년의 프랑스 생활 후 귀국하였다. 2023년에는 프랑스 대사관 문화부와 함께 제14회 광주비엔날레의 프랑스관을 총괄했다. 또한 국내 문화재단과 손잡고 전시를 기획하여 개인전 및 단체전에 작품을 선보인 바 있다. 이은아는 문화적, 언어적 정체성에 기반한 개인과 사회의 관계, 예술가와 큐레이터의 상호 관계, 전통 예술에서 현대 예술에 이르는 예술의 역사적 측면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현재 그는 홍익대학교에서 미술학 박사 과정을 밟으며 작가 및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61104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5

Gwangju Biennale Foundation
115 Biennale-ro, Buk-gu, Gwangju 61104, Korea

T +82 (0)62 608 4114
F +82 (0)62 608 4229

biennale@gwangjubiennale.org
gwangjubiennale.org

Title

제 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15th Gwangju Biennale: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2024.9.7. — 2024.12.1.

+82 (0) 62-608-4114
biennale@gwangjubiennale.org

FacebookInstagramYoutube
© 2025. 15th Gwangju Biennale. all rights reserved.